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고 안전성, 고 이온전도성 신규 염화물 고체 전해질 개발 전략 제시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은 삼방정계 구조의 염화물 고체 전해질의 구조적 특성인 금속 이온의 조성 및 배치가 리튬 이온의 전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아프리카 토착소 교잡에 대한 유전적 추론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생명과학부 정충원 교수 공동연구팀
아프리카소의 진화와 토착 품종의 형성은 진화 연구에서 가장 역동적이라고 추정되었으나 그 과정은 베일에 싸여 있었다. 특히, 다양한 아프리카소 품종에서 야생소의 이입과 인디커스 품종의 기원에 관해 여러 가지 가설이 있었으나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생체 리프로그래밍으로‘재생 줄기세포’ 생성과 소장 재생 기전 밝혀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공동연구팀
도마뱀의 꼬리 절단 후 재생은 조직 손상 후 손상 부위에서 발생하는 분화세포가 분화능이 높은 ‘재생 줄기세포’로의 역분화가 일어나고 생성된 ‘재생 줄기세포’의 재분화로 조직 손상이 복귀되게 된다.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밝혀낸 선형동물의 텔로미어 진화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공동연구팀
텔로미어는 진핵생물에서 DNA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로, 텔로미어가 손상되면 세포노화가 일어나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ARS_CoV-2 항원 특이적인 T 세포 및 B 세포의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및 분화 추적 방법으로 중증 진행과 관련된 면역조절과정 규명
의과대학 이창한 교수 공동연구팀
COVID-19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항원 특이적 T 및 B 세포의 반응과 다양한 질병 심각도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원자 단위로 얇은 ‘거미줄 탐침’으로 부작용 없이 뇌 신경신호를 기록한다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 연구팀은 원자 단위로 얇은 그래핀과 육방정 질화 붕소 등의 2차원 물질을 사용하여 세상에서 가장 얇은 새로운 뉴런 탐침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채집된 샘플의 DNA 분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3D프린터로 제작 가능한 곤충 채집 트랩(WET) 개발
농생명공학부 이승환 교수 연구팀
본 연구는 비행간섭트랩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샘플의 부패 및 DNA의 분해와 관련된 요소들을 구조적, 물리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개선된 ‘WET’으로 수거된 샘플들은 육안으로도 부패가 거의 없었으며, 양질의 DNA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를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에너지 생성의 중심인 코엔자임 Q (CoQ) 합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RTN4IP1(OPA10)의 중요성을 밝혔다고 발표했다.

천연고분자 폴리젖산(PLA)과 리그닌을 활용하여 생체적합성 의공학용 바이오소재 제조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최준원ㆍ김태민 교수 공동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최준원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하는 2종의 천연소재인 PLA와 리그닌을 혼합하여 ‘PLA-Lignin Biocomposite’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